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포스트맨(Postman) 사용법과 다운로드(feat. 유튜브 API) 모바일 개발, 프론트엔드, 백엔드 모두 유용하게 쓰이는 API 개발 툴인 포스트맨을 사용해보자. 개발 하기전 테스트용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변수 설정을 통해 편하고 보기 좋게 관리할 수가 있다. 또한 컬렉션에 내가 사용했던 API들을 모아 볼 수 있어서 따로 홈페이지를 재방문 할 필요 없이 재사용 가능한 API를 만들 수 있다. API 부자가 되어보자! 포스트맨(Postman) 사용하기 🚀 01. 포스트맨 다운로드 간단하게 구글에 포스트맨 다운로드를 검색하면 사이트에 접속해 앱을 설치할 수 있다. 그냥 웹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자주 사용하는 만큼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운로드 받아 편하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먼저 가입을 해야하고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및 설치를 해준다. 02. 앱 실행과 새로운 .. 2021. 8. 8.
크롬 브라우저는 어떻게 작동 할까? - 04 Google Developers 사이트에서 읽은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컴포지터에 입력이 들어오고 있어요! 저번 글에선 렌더링 프로세스와 컴포지터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 글에선 컴포지터가 어떻게 사용자 입력(input) 시 매끄럽게(smooth) 상호작용을 하게 만드는지 알아보자. 브라우저 관점에서의 입력 이벤트(input events) 일반적으로 우리가 "입력 이벤트(input events)"라고 하면 텍스트 박스에 타이핑을 하거나 마우스 클릭 이벤트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브라우저 관점에서 의미하는 입력은 사용자가 하는 모든 행동(gesture)을 뜻한다. 즉, 마우스 휠 스크롤도 입력 이벤트이며 터치 또는 마우스 오버(mouse over) 또한 입력 이벤트인 것이다. 화면에 터치와 같은 사용자 .. 2021. 8. 8.
크롬 브라우저는 어떻게 작동 할까? - 03 Google Developers 사이트에서 읽은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렌더러 프로세스의 내부 동작 저번 글에서 탐색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다면 이번 글에서는 렌더러 프로세스의 내부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자. 렌더러 프로세스 내부에서는 많은 일들이 일어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측면에서 웹 성능과 연관이 있다. 본 글에서 일반적인 개요를 살펴 보자. 렌더러 프로세스의 웹 컨텐츠 처리 렌더러 프로세스는 브라우저 탭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담당한다. 여기서 메인 스레드가 우리가 구현한 대부분의 코드를 처리한다. 웹 워커 또는 서비스 워커를 사용할 경우엔 워커 스레드가 자바스크립트 코드 일부분을 처리하게 된다. 컴포지터와 래스터 스레드는 렌더러 프로세스 내부에서 페이지를 효율적이고 매끄럽게 렌더하.. 2021. 7. 29.
크롬 브라우저는 어떻게 작동 할까? - 02 Google Developers 사이트에서 읽은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탐색할 때 일어나는 일 저번 글에서, 개별 프로세스 및 스레드가 브라우저에서 여러 부분들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그리고 브라우저 아키텍처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 글에선 웹사이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각 프로세스와 스레드들이 어떻게 통신하는 지 깊게 알아볼 것이다. 간단히 웹 서핑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브라우저에 주소를 치면 브라우저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 페이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탐색(Navigation)¹ 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보자. 탐색(Navigation)¹ -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렌더링하는 과정 시작은 브라우저 프로세스에서 저번 글에서 브라우저 프로세스는 탭 밖의 보이지 않는 부분들을 담당하는 것을 .. 2021. 7. 25.
크롬 브라우저는 어떻게 작동 할까? - 01 Google Developers 사이트에서 읽은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CPU, GPU, Memory 그리고 멀티 프로세스 아키텍처 프론트엔드 개발을 공부하면서 가장 친숙하고 자주 사용하는 브라우저. 이 브라우저는 어떻게 우리의 코드를 잘 돌아가는 웹사이트로 변환해주는 것일까? 그 중 크롬을 중심으로 브라우저가 동작하는 방식을 알아보자. 먼저 주요한 컴퓨팅 용어와 컴퓨터의 일부분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 필요가 있다. 많이 들어보셨죠? 컴퓨터의 중심 CPU와 GPU CPU(Central Processing Unit)란? CPU는 컴퓨터에서 뇌 역할을 담당한다. 다양한 작업들을 들어올 때마다 하나씩 처리한다. 과거에는 CPU가 하나의 칩이었지만(이 당시엔 코어란 같은 칩에 들어 있을 뿐 다른 CPU로 취급.. 2021. 7. 22.
[React.js] 엘리먼트(Element)와 컴포넌트(Component) 엘리먼트(Element) 전 React 엘리먼트를 영화의 프레임으로 생각합니다. React 엘리먼트는 매 순간 어떻게 보여야 되는지 파악하고 변하지 않습니다. - overreacted React 앱의 화면을 표시하는 가장 작은 구성 요소로써 일반 객체(plain object)이다. 영속성을 가지지 않는다. 즉 매번 새로 만들어지고 버려진다. 불변함을 가지기 때문에 생성한 이후 해당 엘리먼트의 자식이나 props을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렌더링을 보여주고 싶다면 새로운 엘리먼트 트리를 생성해야 한다. React 엘리먼트는 화면에 무엇을 그리고 싶은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객체와 같다. React.createElement( type, [props], [...children] ) type 인자로는 태.. 2021. 7. 17.
[React.js] JSX와 XSS(Cross Site Scripting) 공격 JSX 마크업과 UI 로직을 둘 다 포함하여 개발을 할 수 있다. 익숙한 문법으로 협업에 용이하다. 컴포넌트별로 분류하여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속성 정의는 따옴표('')를 이용해 문자열 리터럴이나 중괄호({})로 JS 표현식(문법, 변수 등)을 삽입할 수 있다. HTML보다는 JS에 가깝기 때문에, 클래스 명명은 camelCase 명명 규칙을 사용한다. React DOM은 JSX에 삽입된 모든 값을 렌더링하기 전에 이스케이프한다. 따라서 앱에 명시적으로 작성되지 않은 내용은 주입되지 않는다. 모든 내용을 렌더링 되기 전에 문자열로 변환한다. 이런 특성들로 인해 XSS(Cross Site Scripting) 공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스케이프(Escape) 특정 문자를 원래의 기능에서 벗어나게 변.. 2021.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