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OM(Document Object Model) DOM이란? 문서 객체 모델(DOM)은 HTML 문서의 요소(element)를 제어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에서 처음 지원되었고 HTML, XML 문서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입니다. DOM은 문서의 구조화된 표현을 제공하며 프로그래밍 언어가 DOM 구조에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적으로 문서 구조, 스타일, 내용 등을 변경할 수 있게 돕습니다. DOM은 웹 페이지의 객체지향 표현이며,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스크립팅 언어를 이용해 DOM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즉, 자바스크립트에서 Object 형태로 변환되어 접근, 제어를 할수 있게 만든 모델을 DOM이라 합니다. 브라우저마다 그들만의 방법으로 DOM을 구현하여서 호환되지 않음에 따라, W3C에서 DOM 표준 규격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브라우저들이 표.. 2020. 10. 24.
Web APIs 이해하기 브라우저 이해하기의 첫 시작. '어떤 플랫폼에서 개발을 하든 프로젝트를 하든 웹에서 제공하는 APIs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라는 말을 영상에서 듣고서 Web APIs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는 복잡한 기능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한 것입니다. 복잡한 코드를 추상화하여 사용 시 쉬운 구문을 제공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예를 들자면 냉장고나 전자렌지가 내부적으로 어떻게 복잡하게 동작하는지, 로직들이 어떻게 짜여 있는지 전혀 알지 못해도 우리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API란 내부 로직을 알지 못해도 그 기능을 가져다 쓸 수 있는 것을 .. 2020. 10. 23.
JS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가 뭘까..? 자바스크립트 강의나 리액트 강의를 듣다보면 콜백이란 단어가 자주 나옵니다. 콜백이란 단어를 모르고 시작하기엔 찝찝해서 공부한 내용을 공유 해보겠습니다. 콜백(callback)이란? 프로그래밍에서 콜백은 다른 코드의 인수(argument)로써 넘겨주는 실행 가능한 코드를 말합니다. 콜백을 넘겨받는 코드는 이 콜백을 필요에 따라 즉시 실행할 수도, 나중에 실행 할 수도 있습니다. JS의 함수는 객체(Object)이다. 그것도 1급 객체(first class object)입니다. 1급 객체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수(variable)나 데이터 구조안에 담을 수 있다. 객체의 인자(argument)로 전달할 수 있다. 반환값(return value).. 2020. 10. 23.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 흥미로운 글 웹에 대해 검색하다가 흥미로운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2020년 브라우저의 동향에 대한 글인데요. 조은님의 미디엄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 번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글 중 한 내용입니다. 향후에 점점 브라우저 파편화가 심해질 거라 생각되고, 아마 일부 개발자들은 크로스 브라우징을 포기할 거라 생각됩니다. 사실 지금도 UA 긁어다가 Chrome Only로 동작시키는 웹사이트들이 종종 보이는 수준이니까요. 여기서 말하는 '크로스브라우징(cross browsing)'에 대해 알기 위해 공부한 글을 공유하려 합니다.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이란? 오늘날 전세계의 영향을 끼치는 정보의 바다🌊 웹 브라우저는 초기 브라우저 시장점유 전쟁 동안 서로간의 배타적.. 2020. 10. 22.
반응형